성 금요일은 한국 천주교에서 부활절 전 금요일, 즉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신 날을 가리킨다. 천주교에서는 이 날은 미사를 거행하지 않고 대신 '주님 수난 예식'이라는 것을 한다. 이것은 미사가 아니다.  겁나 간단하게 말하면 


성경 독서 

보편지향기도(신자들의 공동 기도) 

보관 중인 성체 영하기(먹기) 


이렇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성경을 읽는 부분에서는 세 부분을 읽는데, 마지막은 복음서에서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히신 부분을 읽되, 여러 사람이 역할을 분담한다. 사제가 예수님의 말씀을 맡고, 그 외에 서술을 담당하는 사람, 군중이나 빌라도의 말 등을 담당하는 사람으로 역할을 분담한다. 이 뒤에 공동 기도를 들어간다. 


원래 로마 미사에서는 거의 1500년간 내가 '신자들의 공동 기도'라고 표현한 부분이 없었다. 초기에는 있었으나 6세기경쯤에 사라진 것으로 추정한다. 비슷한 시기에 로마에서뿐만 아니라 동방전례에서도 사라졌다. 이 시기 공동기도 방식은 주교나 사제가 ~~~해 주소서 하고 기도하면, 신자들이 정해진 화답문구(가령 키레에 엘레이손 등)를 외치는 형식이었다. 특히 기도주제로는 예비신자들을 위한 것이 많았다고 한다. 천주교에서는 전례개혁 때 보편지향기도를 되살리면서 사제가 아닌, 신자들의 주도하는 기도로 촛점을 바꾸었다. 

(추정컨데, 이 보편지향기도가 사라진 이유는 예비신자가 줄어들었고, 성찬감사기도에 산 자와 죽은 자를 위한 기도가 포함되면서 입지가 줄어든 것 같다.) 


하지만 로마 미사에서 초기 공동 기도 양식을 보존하고 있던 부분이 바로 성 금요일에 하는 '주님 수난 예식' 부분이었다. 여기서는 옛날과 마찬가지로 사제가 먼저 ~~~해 주소서 하고 기도하면 여전히 신자들이 화답하는 방식으로 7-8가지 주제를 청원했다. 기도 주제는 가톨릭 교회, 교황, 성직자와 수도자, 국가, 이단 소멸(___) 등이고, 거기에 유태인들을 위한 기도도 있었다. 


이때 기도방식은 이러하다. 


먼저 사제가' XXX 주제로 기도합시다' 하고 서두를 떼면 모든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잠시 침묵을 지키다가 일어선다. 그 뒤에 사제가 하느님, ~~~해 주소서 하고 기도를 하면, 신자들이 "아멘"하고 화답한다. 


그런데 유태인들을 위한 기도에서는 무릎을 꿇는 부분이 없이 바로 사제가 기도를 했다. 미사경본에 있는 주석에 따르면 "유태인들이 예수님을 무릎 꿇게 하고 핍박했으니 여기서는 무릎을 꿇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또한 기도문에서도 "하느님꼐서는 유태인들에게도 자비를 거두지 않으시니"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건 유태인들에게 그만큼 자격이 없지만 하느님은 자비로우셔서 역시 허락하신다...하는 의미가 전재됐다. 당연히 유태인들을 낮추어보는 의미가 전제된 것이다. 


유태인들을 위한 기도 다음에는 비신자(Paganus)를 위한 기도가 있는데. 여기서는 무릎을 꿇는 부분이 있다. 유태인들은 여기서 비신자들보다도 더 낮게 잡힌 것이다.  

그래서 복자 요한 23세께서는 1962년에 트리덴티노 미사 전례서를 고치시면서 이 부분을 수정하였다. 즉 유태인들을 위한 기도에서도 무릎을 꿇게 하고, 기도문에서도 "유태인들에게도 자비를 거두지 않으신다"하는 구절을 없앴다. 


그리고 1970년 전례개혁에서는 아예 성 금요일 전례 중 보편지향기도에서 무릎을 꿇는 부분을 없앴다.

'전례사/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만찬을 자주 하지 않는 이유  (2) 2013.07.26
미카엘 대천사께 드리는 기도  (0) 2013.07.19
예수님의 고통  (0) 2013.07.19
그런저런 이야기  (0) 2013.06.30
아나포라 제4 양식  (0) 2013.06.30
      전례사/교회사  |  2013. 9. 29. 16:01



에스페로스's Blog is powered by Daum